개발자 발전기록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개발자 발전기록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44)
    • 설치메뉴얼 (3)
    • Java (71)
    • MySQL (0)
    • Spring boot (28)
    • Final Project (11)
    • HTML, CSS (2)
    • JPA (3)
    • JS (0)
    • Git (0)
    • Flutter (1)
    • error note (0)
    • My Project (0)
    • 소개 (0)
    • SQLD (16)
    • W3School Practice (8)

검색 레이어

개발자 발전기록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SQLD

  • SQLD - WHERE문 사용

    2024.08.23 by endless123

  • SQLD - SQL(Structured Query Languag)종류

    2024.08.13 by endless123

  • SQLD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 Database)

    2024.08.13 by endless123

  • SQLD - 본질 식별자와 인조 식별자

    2024.08.12 by endless123

  • SQLD - NULL속성의 이해

    2024.08.12 by endless123

  • SQLD - 모델이 표현하는 트랜잭션의 이해

    2024.08.09 by endless123

  • SQLD - 관계(Relationship)와 조인의 이해

    2024.08.09 by endless123

  • SQLD - 반정규화(De-Normalization)

    2024.08.09 by endless123

SQLD - WHERE문 사용

WHERE문 WHERE문이 사용하는 연산자WHERE문이 사용할 수 있는 연산자는 비교 연산자, 부정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SQL 연산자, 부정 SQL 연산자가 있다.비교 연산자비교 연산자설명=같은 것을 조회한다.작은 것을 조회한다.작거나 같은 것을 조회한다.>큰 것을 조회한다.>=크거나 같은 것을 조회한다. 부정 비교 연산자부정 비교 연산자설명!=같지 않은 것을 조회한다.^=같지 않은 것을 조회한다.같지 않은 것을 조회한다.NOT 칼럼명 =같지 않은 것을 조회한다.NOT 칼럼명 >크지 않은 것을 조회한다.  논리 연산자논리 연산자설명AND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참(True)이 된다.OR조건 중 하나만 만족해도 참(True)이 된다.NOT참이면 거짓(False)으로 바꾸고 거짓이면 참(True)으로 ..

SQLD 2024. 8. 23. 18:06

SQLD - SQL(Structured Query Languag)종류

SQL(Structured Query Language)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데이터의 구조를 정의, 데이터 조작, 데이터 제어 등을 할 수 있는 절차형+비절차형 언어이다.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고 SQL문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SQL은 ANSI/ISO 표준을 준수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변경되어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SQL 표준표준(Standard)설명ANSI/ISO SQL 표준INNER JOIN, NATURAL JOIN, USING 조건, ON 조건절을 사용한다.ANSI/ISO SQL3 표준 DBMS 벤더별로 차이가 있었던, SQL을 표준화하여 제정했다. SQL 종류SQL은 데이터 정의, 데이터 조작, 데이터 제..

SQLD 2024. 8. 13. 13:54

SQLD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 Database)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등장-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1970년대 E.F. Codd 박사의 논문에서 처음 소개된 데이터베이스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릴레이션(Relation)과 릴레이션의 조인 연산을 통해서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등을 만들      수 있다.- 현재 기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로 Oracle, MS-SQL, MySQL, Sybase 등의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있다. (2)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차이점-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어떠한 형태의 자료구조(Data Structure)로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나누어진다.- 데이터베이스의 종류는 계층형, 네트워크형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등이 있다.- 계층..

SQLD 2024. 8. 13. 10:52

SQLD - 본질 식별자와 인조 식별자

본질 식별자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을 하는 도중에 업무에서 발생하거나 해당 데이터의 자연스러운 특성을 이용한 값이다. 예를 들어"상품코드", "주민등록번호" 등이다. 인조 식별자 본질 식별자가 너무 복잡할 때 인위적으로 만든 고유한 식별자로 "카드번호", "사원번호" 등이 해당된다. 만약, 본질 식별자가 확인되지 않고 식별자의 역할을 하는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에 인위적으로 인조 식별자를 만들 수가 있다. 대표적인 것인 Oracle의 Sequence이며, 게시판을 개발할 때 임의적으로 유일한 순차번호를 발생시켜서 식별자로 사용하는 것이 예이다.

SQLD 2024. 8. 12. 19:01

SQLD - NULL속성의 이해

NULLNULL은 값이 정의되지 않은 미지의 값이다. 즉 0이나 공백이 아닌, 값이 정해지지 않은 것이다. 1. NULL과 연산을 수행하면 항상 NULLNULL과 연산을 수행하면 그 결과는 NULL이다.NULL인 경우 NVL() 함수를 사용해서 NULL을 0 또는 다른 값으로 대체해서 사용해야 한다. 2. 집계함수는 NULL 값을 제외 행 수를 계산하는 COUNT() 함수를 사용할 때, 칼럼에 NULL이 포함되어 있으면 그 행은 제외한다.하지만 COUNT(*)은 전체 행이 계산된다.

SQLD 2024. 8. 12. 18:57

SQLD - 모델이 표현하는 트랜잭션의 이해

식별관계고객과 계좌 엔터티에서 고객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강한 개체(Strong Entity)이다.강한 개체는 어떤 다른 엔터티에게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강한 개체는 다른 엔터티와 관계를 가질 때 다른 엔터티에게 기본키를 공유한다.강한 개체는 식별 관계로 표현된다. 식별 관계란 고객 엔터티의 기본키인 회원ID를 계좌 엔터티의 기본키의 하나로 공유하는 것이다.강한 개체의 기본키 값이변경되면 식별 관계(기본키를 공유받은)에 있는 엔터티의 값도 변경된다.여기서 계좌입금 엔터티는 약한 개체가 된다.비식별관계비식별 관계는 강한 개체의 기본키를 다른 앤터티의 기본키가 아닌 일반 칼럼으로 관계를 가지는 것이다.예를 들어 관리점 엔터티의 기본키는 지점 코드이고 고객 엔터티와 비식별 관계를 가지고 있..

SQLD 2024. 8. 9. 17:38

SQLD - 관계(Relationship)와 조인의 이해

관계와 조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엔터티 간의 관계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회원과 주문과의 관계에서 회원과 주문은 엔터티이고 서로 발주라는 관계가 있다. 위의 모델에서 한 명의 회원은 주문을 발주할 수 있고 발주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한 명의 회원은 주문을 한 개 혹은 여러 개 발주할 수 있다.위의 ERD를 데이터로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회원 엔터티회원번호이름나이주소0001조조10강남1002유비12노원구0003여포20관악구 주문 엔터티주문번호회원번호주문일자상품콛,주문수량주문금액A001000224-01-01M00112000A002000223-10-10M00221000A003000323-12-12M00112000위의 회원 엔터티와 주문 엔터티를 보면 회원번호 0001번 조조는 주문을 내지 않았다. 그..

SQLD 2024. 8. 9. 17:30

SQLD - 반정규화(De-Normalization)

반정규화(De-Normalization)데이터베이스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데이터 중복을 허용하고 조인을 줄이는 데이터베이스 성능 향상 방법이다.반정규화는 조회(SELECT) 속도를 향상하지만, 데이터 모델의 유연성은 낮아진다.반정규화를 수행하는 경우정규화에 충실하면 종속성, 활용성은 향상되지만 수행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다량의 범위를 자주 처리해야 하는 경우특정 범위의 데이터만 자주 처리하는 경우요약/집계 정보가 자주 요구되는 경우반정규화 절차반정규화 절차설명대상 조사 및 검토데이터 처리 범위, 통계성 등을 확인해서 반정규화 대상을 조사한다.다른 방법 검토- 반정규화를 수행하기 전에 다른 방법이 있는지 검토한다- 예를 들어 클러스트링, 뷰, 인덱스 튜님, 응용 프로그램,       파티션 등을 검토 한다..

SQLD 2024. 8. 9. 17:0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개발자 발전기록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